본문 바로가기

통증치료

수근관 증후군 증상 해결방법

수근관 증후군 증상 해결방법

 

 

 

수근관은 손목 앞쪽의 피부조직 밑에 손목을 이루는 뼈와 인대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통로를 말하는데요. 이 통로로 9개의 힘줄과 하나의 신경이 손쪽으로 지나갑니다. 수근관 증후근은 이 통로가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될 경우 통로를 지나가는 정중신경이 손상되어 손바닥과 손가락에 통증이 나타나게 되는 것을 말하는데요.

 

오늘은 예인한의원과 함께 수근관 증후근 증상에 대한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근관 증후근은 수근관의 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어떠한 경우라도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발견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근관을 덮고 있는 인대가 두꺼워져 정중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것을 가장 흔한 수근관 증후군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근관 증후군 증상은 비만, 당뇨병, 노인, 여성에게서 더 흔하게 발생하며 임산부의 경우 임신 중에만 일시적으로 수근관 증후군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수근관 증후군 증상은 손목통증과 정중신경의 지배 부위인 엄지, 검지, 중지, 손바닥 부위의 저림 증상이 밤에 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간혹 정중신경의 압박이 심한 경우에는 저림 및 감각 저하를 넘어 엄지 근육의 쇠약이나 위축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수근관 증후군 증상은 통증, 감각이상 및 운동장애로 나눌 수 있으며 엄지, 검지, 중지, 손바닥 부위에서 통증 및 저림과 이상 감각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통증 및 이상감각의 성격은 불확실하며 모호한 경우도 있는데요. 1~2분 동안 손목을 굽히고 있을 경우 해당 부위에 저림이 유발되기도 하며 손목을 두드릴 경우 동일한 증상이 유발되기도 합니다.

 

수근관 증후군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잠자는 도중에도 손이 타는 듯한 통증을 느껴 잠에서 깨는 경우가 있고 깨어난 후 손목을 움직이는 동작을 계속하면 통증이 다시 가라앉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예인한의원과 함께 수근관 증후근 증상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수근관 증후근은 초기에 증상이 미약하기 때문에 증상을 참는 경우가 많아 무지구 근의 위축이 상당히 진행되어 운동기능 장애가 나타나 손 사용의 불편함을 느끼는 환자들이 많은데요. 이렇게 증상을 참게 될 경우에는 수근관에서 정중신경 압박이 지속되면서 신경손상이 진행되어 증상이 악화되게 됩니다.

 

그러므로 증상 초기에 예인한의원에 내원하셔서 치료를 받아 수근관 증후근 증상을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통증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정 야간진료 어디에서?  (0) 2016.10.24
목 어깨 통증 해결하자  (0) 2015.11.20
서면통증한의원 고관절염이란?  (0) 2015.10.30
족저근막염 원인과 치료법  (0) 2015.09.30
골반 틀어짐 증상과 치료  (0) 2015.09.25